 전문의제도위원회
    전문의제도위원회에서는
    
    
      - 임상교육검정제도의 기준안과 시행안 마련
      
- 임상자격증번호 및 임상자격 취득 후 교육 관리
      
- 사업진행을 위한 기준안 및 시행규칙과 규정 안을 제출
 
 
활동계획(2024~2025) 
가. 위원명단
		
		  
		회원명단
		
			
				|  | 성명(가나다 순) | 대학 | 비 고 | 
		
		
  
    | 1 | 한재익 | 전북대 | 위원장 | 
  
    | 2 | 서경원 | 서울대 | 
 | 
  
    | 3 | 정효훈 | 제주대 | 
 | 
  
    | 4 | 황태성     | 경상대     | 
 | 
  
    | 5 | 정진영     | 강원대     | 
 | 
  
    | 6 | 김정현     | 건국대     | 
 | 
  
    | 7 | 장  민     | 경북대     | 
 | 
  
    | 8 | 정동인     | 경상대     | 
 | 
  
    | 9 | 박  철     | 전북대     | 
 | 
  
    | 10 | 김세은     | 전남대     | 
 | 
  
    | 11 | 윤학영     | 전북대     | 
 | 
  
    | 12 | 
 | 
 | 
 | 
		
	
    
 
 나. 한국수의전문의제도 현황
 
-  내과
 - 2017년 5월 한국수의내과전문의제도 창립총회 및 디팩토 전문의 선정 
 → 2018년 한국수의내과전문의 레지던트 모집을 위한 규정 및 가이드라인 확립 → 2019년 9월 한국수의내과전문의 제도 교육시작 (레지던트 9명) → 2020년 4월 KCVIM 전공의 교육 핵심 역량집완성(181 페이지) → 2020년 9월 2기 한국수의내과전문의레지던트 모집 중 → 2022년 제1회 한국수의내과전문의제도시험 실시 예정
 
 
- 외과
 - 2018년 한국수의외과전문의 설립전문의 모집 공고 및 선정 
 → 현재 진행 중
 
 
- 영상의학과
 - 2018년 한국수의영상의학전문의협의회 설립 및 디팩토 전문의 선정 
 → 현재 진행 중
 
 
 다. 활동계획
- 각 임상과별 전문의 제도 규정과 기준안 마련
 - 현재 진행되고 있는 각 임상과별 전문의제도 규정과 기준안에 대한 자료수집 및 상호 발전방향 모색
 
- 각 대학별 교육 여건 및 애로사항 정보수집 및 개선방향 모색
 
- 한국임상수의학회 활용
 ▸ 전문의제도 별도 세션 기획 (각 전문분야별 레지던트 미팅 기획)
 ▸ 임상수의학회 참가 임상교수 대상 전문의제도 임시회의 기획
 
 
- 각 임상과별 전문의 레지던트 교육을 위한 가이드라인과 내용기준안 마련
 -  수의전문의 레지던트 교육을 위한 가이드라인 연구내용 공유 및 협력
 
 
- 전문분야별 진료과목 세분화 방안과 현실적 문제점 파악에 관한 연구
 - 전문분야별 진료과목 취합 및 분석
 
- 진료과목 표준화 및 레지던트 교육 표준안 안 마련
 
 
- 전문의 레지던트들에 대한 처우개선 및 현실적 급여확보방안에 관한 기획과 대외 홍보
 - 대학별 전문분야별 전문의 및 레지던트 현황 파악
 
- 대학별 전문분야별 레지던트 모집계획 파악
 
- 대학별 임상진료수의사에 대한 급여지급 상황 파악
 
- 대한수의사회와 연계하여 전문의 제도의 인정 및 발전방향 모색